여행
베트남

용어: Funding Rate(펀딩비)

1. 펀딩비(Funding Rate)란?

펀딩비는 무기한 선물(Perpetual Futures) 시장에서 현물 가격과 선물 가격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메커니즘이에요.
*펀딩비(Funding Rate)**는 무기한 선물(Perpetual Futures) 계약에서 롱(Long)과 숏(Short) 포지션 간의 이자 교환 시스템입니다.
펀딩비는 8시간마다 한 번씩 지급되며, 롱과 숏 중 어느 쪽이 상대방에게 비용을 지급하는지 결정합니다.
펀딩비가 양수(+)이면 롱이 숏에게 지급, 음수(-)이면 숏이 롱에게 지급합니다.

핵심 원리:

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높으면 → 롱이 숏에게 펀딩비 지급 (양수)
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낮으면 → 숏이 롱에게 펀딩비 지급 (음수)

2. 예시 이미지에서의 펀딩비 분석

이전 펀딩비(Previous Funding Rate)
0.0155% (8시간 기준) / -0.0466% (연환산 APR 기준)
지난 펀딩비에서 숏(Short) 포지션이 롱(Long) 포지션에게 0.0155%를 지급했다는 의미.
다음 펀딩비(Next Funding Rate)
0.3062% (8시간 기준) / -0.9186% (연환산 APR 기준)
다음 펀딩비는 **더 커진 -0.3062%**로,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지급해야 하는 비용이 증가한 상황.
예상 펀딩비(Est. Funding Fee)
0.6133 USDT
현재 사용자의 포지션 크기에 따라, 다음 펀딩비를 적용받으면 0.6133 USDT를 받거나 지급해야 함.
숏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면 -0.6133 USDT를 롱 포지션 보유자에게 지급해야 함.
롱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면 +0.6133 USDT를 받을 수 있음.

3. 펀딩비가 중요한 이유

롱과 숏의 균형 유지
무기한 선물 시장은 펀딩비를 통해 현물(Spot) 가격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려고 합니다.
롱이 많으면 펀딩비가 **양수(+)**가 되어 롱이 숏에게 지급 → 롱 수요 감소 유도.
숏이 많으면 펀딩비가 **음수(-)**가 되어 숏이 롱에게 지급 → 숏 수요 감소 유도.
트레이딩 전략 활용
롱 포지션을 보유한 상태에서 펀딩비가 음수(-)면, 펀딩비를 받으면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음.
숏 포지션을 보유한 상태에서 펀딩비가 음수(-)면,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하므로 손실이 커질 수 있음.
펀딩비 높은 시점 회피
펀딩비가 크게 변할 때(예: -0.3062%), 포지션을 조정하거나 청산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.

펀딩비가 높다는 건 무슨 뜻일까?

→ 롱(또는 숏)이 너무 많다!
펀딩비는 무기한 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얼마나 괴리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정해져요.
양(+)의 펀딩비가 높다 → 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많이 비싸다 → 롱이 과도하게 많다
음(-)의 펀딩비가 높다 → 선물 가격이 현물보다 많이 싸다 → 숏이 과도하게 많다

4. 왜 가격이 순간적으로 떨어질까?

펀딩비가 마이너스일 때, 많은 사람들이 펀딩비를 받기 위해 롱 포지션을 오픈합니다. 그런데:
이들이 펀딩비를 받고 난 후, 곧바로 롱 포지션을 **청산(=매도)**합니다.
동시에 많은 롱 청산이 발생하면, 그 순간 시장에 매도 압력이 몰려 가격이 일시적으로 하락하게 됩니다.
또는, 더 간단히 말하면:
펀딩비 수익을 노린 '숏타임 롱 진입 + 청산' 전략들이 몰려서 일시적인 하락이 생깁니다.

5. 펀딩비 받거나 내기 위한 조건

정확한 시점: 펀딩 시각 ‘정각’에 포지션을 보유 중인 사용자만 해당합니다.
즉:
**펀딩 시각 정각(예: 09:00:00)**에 포지션을 들고 있어야 펀딩비가 적용돼요.
정각 ‘1초 전’까지는 안 됩니다. 딱 정각에 포지션이 있어야만 펀딩비를 받거나 내게 돼요.

6. 펀딩비 시간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?

방법: 거래소 UI에서 확인

대부분 "Funding/펀딩비율" 옆에 다음 정산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됩니다.
예: "Next Funding In: 1h 15m" 이런 식으로요.

7. 구체적인 계산 방식 (바이낸스 예시):

바이낸스는 보통 아래 항목들로 펀딩비를 계산해요:
Funding Rate = Premium Index + Clamp(Interest Rate - Premium Index, ±0.05%)
Plain Text
복사
Premium Index: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 차이를 지표화한 것
Interest Rate: 보통 고정값 (예: 0.01% / 8시간 기준)
Clamp(): 갑작스러운 급변을 막기 위한 범위 제한
※ 각 거래소마다 세부 계산 방식은 조금씩 다름 (하지만 원리는 비슷)

6. 현재 시장 상황 해석

펀딩비가 계속 음수(-)로 커지는 것은 숏 포지션이 많다는 의미
롱 포지션 보유자는 추가적인 펀딩비 수익을 받을 수 있음
숏 포지션 보유자는 펀딩비를 계속 지불해야 하므로 불리함

결론 (현재 포지션에 따른 전략)

롱 포지션(매수) 보유 시 → 펀딩비를 받을 수 있으므로 유리
숏 포지션(매도) 보유 시 → 펀딩비를 계속 내야 하므로 불리함 (추가 비용 발생 가능)
펀딩비가 클 경우, 시장이 반등하거나 반전할 가능성이 높음 → 신중한 전략 필요
즉, 현재 시장은 숏이 많아서 숏이 롱에게 펀딩비를 지급하는 구조이며, 롱 포지션 보유자에게 유리한 환경입니다.